9월부터 읽기 시작했으니까, 거의 4개월 만에 읽었네.. ;; (10~11월에는 너무 바빠서 거의 못 읽긴했지만)
요즘 책 읽는 속도로는 1년에 20권 읽기는 커녕 10권도 제대로 못 읽지 싶다. ㅠㅠ 아...
애정하는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님의 책인데, 음... 뭐랄까 대작이라는 타이틀과 함께 너~무 어렵다고나 할까?
만약에 20대에 읽었다면.. 좀 더 다른 느낌이지 않았을까.. 하는 생각이 든다.
20대후반 ~ 30대가 주인공인 1Q84를 읽고,
15세의 다무라 카프카 군을 만났더니, 삶의 의미와 가치가 너무 무겁게 와 닿았다. 무거운 책인거 같다.
약자, 오이디푸스 콤플렉스, 기억상실, 기억소멸, 선택적 죽음과 실종, 가족의 정의, 노인과 젊은이, 인생, 당위론적 삶, 우연과 필연, 망상, 동물과 사물과 대화할 수 있다면, 사물의 의미, 친절함, 음악, 단절, 소통, 의지
암튼 엄청 많은 생각과 시각을 열어준다는 점에 있어서는 '대작'임을 인정해야하겠다.
여지없이 수 많은 밑줄이 있지만, 상하 두권인 관계로, 추려서 몇가지만 뽑아야겠다.
상
pg 18
"넌 지금부터 이 세상에서 가장 터프한 열다섯 살 소년이 되어야해. 무슨 일이 있어도 그렇게 하지 않으면 네가 이 세상에서 살아나갈 수 없으니까. 그리고 그러기 위해서는 정말로 터프하다는 것이 어떤 것인가를 네 스스로 이해해야만 하는 거다, 알겠지?"
pg 124
자신들이 쓰러졌을 때의 기억조차 없었습니다. 그 부분은 깨끗이 빠져버린 것입니다. 이것은 기억의 '상실'이라기보다는 오히려 '누락'에 가까운 것입니다. 이것은 전문적인 용어가 아니고, 지금 편의상 사용하고 있을 뿐이지만, '상실'과 '누락'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.
pg 166
나카타상은 누군가를 기약 없이 기다리는 데 익숙했고, 혼자 아무것도 하지 않고 시간을 허비하는 데에도 익숙했다. 그렇게 기다리고 있는 것이 전혀 고통스럽지 않았다.
하
pg 12
나카타 상의 말투에는 뭔가 꽤 상식에 어긋난 점이 있는 게 분명했고, 그가 말하는 내용은 그 이상으로 황당하기 짝이 없었다. 그러나 그 황당함에는 무언가 사람의 마음을 끌어당기는 것이 있었다. 그는 나카타 상이라는 인간이 이제부터 어디로 가서 무엇을 할지 그것이 알고 싶었다.
pg 441
"잘 맞혔어. 말로 설명해도 올바로 전달되지 않는 건 아예 말하지 않는 게 제일 좋지."
"가령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그럴까요?"
"그래, 설령 자기 자신에게도 말이야"
세상에서 가장 터프한 열다섯 살은 우리가 중 2 병이라고 부르는 그 아이들의 질풍노도의 시기이다.
내일 모레 마흔도 질풍노도의 시기이긴 마찬가지인데,,, 아이러니하다.
삶은 그렇게 언제고 처음이라 쉽지 않다. 누구라도 세상에서 가장 터프한 00살이 되어야 한다.
'감상문(talking book & contents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언젠가, 아마도_여행지에서 만난 김연수 작가의 여행에세이 (0) | 2019.01.29 |
---|---|
시인의 에세이_운다고 달라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겠지만 (0) | 2019.01.21 |
'세상의 끝'_이상하고 쓸쓸한 소설 속 세계 혹은 현실의 그 어딘가 (0) | 2018.05.15 |
나는 유령작가입니다_진실 그너머에 짐작이 있을 뿐 (0) | 2018.03.12 |
두번째 읽은 <남한산성> _ 역사는 말이 없고, 진실은 읽는 자의 몫이다 (0) | 2018.01.05 |
댓글